Finance Insight

퇴직연금 vs 개인연금 차이|IRP 계좌 개설부터 세액공제·단점까지 총정리

큐레이터.J 2025. 6. 15. 14:00

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의 차이, IRP 계좌 개설 방법, 세액공제 혜택, 단점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 연금 비교가 궁금하다면 필독!

 

💬 연금, 그냥 국민연금만 있으면 충분할까?

직장인이라면 한 번쯤 "퇴직연금은 뭐고, 개인연금은 또 뭐야?" 하는 고민을 해보셨을 거예요.
특히 퇴사 후 퇴직금을 어떻게 굴릴지 고민할 때, IRP(개인형 퇴직연금)나 연금저축, 개인연금 등이 헷갈리기 시작하죠.

이번 글에서는 사람들이 자주 검색하는 퇴직연금 vs 개인연금의 차이점, 그리고 IRP 계좌 개설/활용법, 세금 혜택, 장단점까지 싹 정리해드릴게요.


✅ 목차

  1. 퇴직연금이란? (DC형, DB형, IRP 포함)
  2. 개인연금이란? (연금저축, 개인형 IRP)
  3. 퇴직연금 vs 개인연금 차이 총정리
  4. IRP 계좌란? 꼭 만들어야 할까?
  5. 세액공제 혜택 비교
  6. 개인형 IRP의 장단점
  7. 이런 사람은 IRP가 유리하다!

 

 

1. 퇴직연금이란?

퇴직연금은 회사가 근로자의 퇴직금을 회사 외부 금융기관에 적립해 두었다가, 퇴직 시 근로자에게 연금이나 일시금으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
✅ 유형별 구분

  • DB형 (확정급여형): 회사가 책임지고 퇴직금 운용. 퇴직 시 확정된 금액 보장
  • DC형 (확정기여형): 근로자가 직접 운용. 수익률에 따라 금액 달라짐
  • IRP (개인형 퇴직연금): 퇴직금을 본인이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든 연금계좌

 

 

2. 개인연금이란?

개인연금은 국민연금 외에 스스로 노후를 대비해 가입하는 연금 상품입니다.
대표적으로 연금저축과 개인형 IRP가 있어요.

  • 연금저축: 매달 일정 금액을 적립, 55세 이후 연금 형태로 수령 가능
  • 개인형 IRP: 퇴직금뿐만 아니라 본인이 직접 입금한 추가 납입금도 연금으로 수령 가능

 

3. 퇴직연금 vs 개인연금 차이 총정리

항목 퇴직연금 (DB/DC) 개인연금 (연금저축/IRP)

납입 주체 회사 개인
수령 시점 퇴직 시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
세액공제 해당 없음 (IRP 제외) 연 최대 700만원까지 공제 가능 (IRP+연금저축)
운용 책임 회사(DB형) / 본인(DC형) 본인
중도 인출 제한적 일부 가능 (연금저축은 조건 제한)

 

4. IRP 계좌란? 꼭 만들어야 할까?

**IRP(Individual Retirement Pension)**는 퇴직금 수령용으로 많이 쓰이는 계좌입니다. 하지만 최근엔 퇴직금이 없어도 스스로 노후 준비를 위해 개설하는 경우가 많아요.

🔎 어떤 용도로 쓰일까?

  • 퇴직금 수령 (퇴사 시 자동 이체)
  • 세액공제용 연금계좌로 활용 (연간 700만원까지)
  • 본인 납입금도 추가 가능

👉 요즘 직장인이라면 무조건 하나쯤 만들어 두는 게 이득!

5. 세액공제 혜택 비교

구분 연간 납입 한도 세액공제율 최대 절세 혜택

연금저축 400만원 13.2% (총급여 5500만 원 이하) 최대 66만원
IRP 700만원 (연금저축 포함) 최대 16.5% 최대 115.5만원

💡 연금저축 + IRP를 같이 활용하면 절세 극대화 가능!

 

6. 개인형 IRP의 장단점

👍 장점

  • 세액공제 혜택: 최대 115만원 절세 가능
  • 수익률 관리: 다양한 금융상품으로 운용 가능 (ETF, 예금 등)
  • 퇴직금 수령 계좌로도 활용 가능

👎 단점

  • 55세 이전 인출 시 세금 부과 (퇴직소득세 또는 기타소득세)
  • 수수료가 다소 있음 (운용사/증권사별로 상이)

 

7. 이런 사람은 IRP가 유리하다!

  • 매년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를 받고 싶은 사람
  • 퇴직금을 굴려서 수익 내고 싶은 사람
  • 국민연금 외 노후 준비가 필요한 30~50대 직장인

✍️ 마무리 한 줄 요약

IRP는 퇴직금을 관리하는 수단이자, 절세와 노후 대비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‘필수 재테크’ 도구입니다.

 

 

 

 

👉 다음 글 예고: IRP 계좌 어디서 개설할까? 은행 vs 증권사 수수료 비교 총정리

 

 

 

📚 참고 자료
- [금융감독원 | IRP 제도 안내 바로가기](https://fss.or.kr/fss/main/main.do?menuNo=200000)
- [국세청 | IRP·연금저축 세액공제 가이드](https://www.nts.go.kr)
- [금융위원회 | 퇴직연금제도 전체 구조 보기](https://www.fsc.go.kr)
- [은행연합회 | IRP 수수료 및 상품 비교](https://www.kfb.or.kr)